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금

2025년 청년도약 계좌 6월 신청 가입조건 및 신청 기간 일정(금리9.5% 5천만원 만들기)

by lifeisgoody5 2025. 6. 7.
반응형

오늘은 청년도약 계좌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청년도약 계좌 가입조건에 해당된다면 필수로 가입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한 이자지원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얼 70만원씩 5년 납부하면 5천만 원 목돈이 생기는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신청 가입 조건 및 신청 기간 구간마다 지원금도 다르기 때문에 자세히 알려드릴 테니 꼼꼼하게 확인하셔서 신청하셔서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1.  2025년 청년도약 계좌 상세 내용

청년도약계좌란 정부에서 청년들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주고자 계좌를 통해 적금을 가입할 경우 보조금 형식으로 금액을 보태주는 정부정책입니다. 무조건 지원 해주는건 아니고, 본인도 일정금액을 납부하면 본인의 소득에 따라서 차등으로 지원금을 보태주는 형식입니다.

계좌 기간은 5년으로 최대70만원까지 납입하면서 정부 지원금 + 본인 납입금 = 5천만 원 목돈을 생길 수 있습니다.

  •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 지원금 지급 내용 (25년 1월 납입금액부터 적용)
개인소득 구간 월 납입금
40만원 50만원 60만원 70만원 월 최대 정부기여금
총급여 2,400만원이하(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24,000원 33,000원 33,000원 33,000원 33,000원
총급여 3,600만원이하(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23,000원 23,000원 29,000원 29,000원 29,000원
총급여 4,800만원이하(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22,200원 22,200원 22,200원 25,200원 25,000원
총급여 6,000만원이하(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21,000원 21,000원 21,000원 21,000원 21,000원
총급여 7,500만원이하(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 -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또는 군장병급여만 있는 자는 총급여 기준으로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을 산정되고,
   청년도약계좌 재가입자는 조정비율(=(60개월-기가입기간)/60개월)이 적용되어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재산정됨.

 

  • 소득별 정부 기여금 최대 수령을 위한 월납입금 기준
    • 총 급여 2,400만원이하(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 월 납입금 50만원 이상 부터 최대 기여금 지원
    • 총급여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 월 납입금 60만 원 이상부터 최대 기여금 지원
    • 총 급여 4,800만 원 이하(종합소득 3,600만 원 이하) : 월 납입금 70만 원 이상부터 최대 기여금 지원
    •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800만 원 이하) : 월 납입금 50만 원 이상부터 최대 기여금 지원

정부 기여금을 최대한 받아야 좋기 때문에 70만 원이 부담스러우신 분들은 소득 구간 별 최대 기여금 받을 수 있는 금액 확인하시고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가입기간 : 60개월
  • 납입금액 : 1천 원 ~ 최대 70만 원 매월 자유롭게 납입가능
  • 금리 : 취급기관 자율결정 ( 3년 고정, 2년 변동)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2. 2025년 청년도약 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기간 일정

1. 청년도약 계좌 가입 조건

  • 나이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 34세 이하* (병행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계산 시 빼고 계산)
  • 개인소득 :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됨)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는 소득 확인을 위해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함.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됨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 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됨
  • 23년도 기준 중위소득 250% (전전 연도 소득 인정될 경우 참고)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
1인 가구 5,194,730원
2인 가구 8,640,387원
3인 가구 11,087,040원
4인 가구 13.502.410원
5인 가구 15,826,720원
6인 가구 18,069,952원
7인 가구 20,268,787원
  • 25년도 기준 중위소득  250%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
1인 가구 5,980,032원
2인 가구 9,831,645원
3인 가구 12,563,383원
4인 가구 15,244,433원
5인 가구 17,770,480원
6인 가구 20,162,013원

 

2. 청년도약 계좌 신청 기간 일정 및 전체 일정

  • 가입 신청 기간 : 6월 2일(월) ~ 6월 13일(금)
  • 가입 요건 확인 : 6월 16일  ~ 6월 18일
  • 2인 이상 가구 가입 요건 확인 : 6월 19일 ~ 6월 27일
  • 1인 가구 계좌개설 : 6월 19일 ~ 6월 27일
  • 적격자 전체 계좌개설 : 6월 30일 ~ 7월 11일

6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6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3. 2025년 청녀도약 계좌 가입 방법

1. 2025년 청년도약 계좌 가입 방법

  • 가입신청은 취급은행 앱(App)을 통해 매월 비대면 신청 가능합니다.
  • 취급 은행 :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전북은행

2. 2025년 청년도약 채팅 상담 바로가기

 

Vue App

 

chat.kinfa.or.kr

  • 전화상담 : 1397 > 바로연결번호 3번

2. 2025년 청년도약 계좌 가입 및 심사 절차

  • [매월] - 가입신청 - 취급은행 앱
  • [신청 후 약 2주] - 가입심사 - 서민금융진흥원
  • [익월 초] - 계좌개설 - 취급은행 앱

가입 및 심사절차 안내
가입 및 심사절차 안내

3. 2025년 청년도약 계좌 가입 시 유의사항

  • 취급 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 현재 청년희망적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입 불가능합니다.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육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 중지됨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 가능합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부지원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건이 맞으시는 분들은 꼭 접수하셔서 신청하시길 바라며, 혹시나 잘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들은 위에 채팅상담 또는 전화상담을 통해서 문의해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귀찮더라도 5년간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인 건 분명합니다. 꼭 잡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